[김대호의 경제읽기] 당정 내년 예산 확장편성 방침…경제 회복 열쇠될까?<br /><br /><br />코로나19의 장기화가 전망되며 방역 성공과 경제 회복을 위해 당정이 내년도에도 확장 재정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예산 증액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내린건데요.<br /><br />예산 편성 방향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이후 관광사업 관련 상장기업 시가총액이 12조원 넘게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계에서도 하반기 실적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는데요.<br /><br />산업현장 분위기도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경제읽기 브리핑이었습니다.<br /><br />보다 자세한 내용은 김대호에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대호 박사 화상연결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사님 나와 계신가요?<br /><br /> 당정의 내년도 예산 협의 내용부터 짚어보겠습니다. 코로나 확산과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내년에도 예산 확장재정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홍부총리는 재정이 최후의 보루라고도 언급했는데 예산 편성 방향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구체적으로 방역 예산을 확충하고 한국판 뉴딜 사업에 20조원 이상 반영하기로 했습니다. 청년 일자리 창출 직업훈련 주거 지원 예산 확대와 관련된 이야기도 나왔는데요. 이런 부분들 포함해서 내년도 예산 규모는 어떻게 예상해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재정 건정성 얘기가 나올 수 밖에 없을텐데 여당에서는 현재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가에 비해 양호한 상황이기 때문에 재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여력이 충분하다 말했는데요. 확장 재정을 유지해도 무리 없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정부에서 확장재정방침을 결정한 배경에는 기업들의 실적 위기도 있습니다. 코로나 국내 확진자가 나온지 약 7개월가량 지났는데 그 사이 국내 관광업종 30개 상장사 시총이 12조가 감소한건데요.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인 상장사는 어디였나요?<br /><br /> 이런 상황 속에도 5개 상장사 특히 대한항공이나 롯데관광개발 등은 시가총액이 증가했습니다. 어떻게 가능했던 건가요?<br /><br /> 제조업계도 재확산 우려가 크죠. 주요 기업의 연구소, 사옥, 생산라인 등 곳곳에서 확진자가 나오면 언제라도 일시폐쇄가 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. 기업 내부에선 하반기까지 실적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는데 하반기 실적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<br /><br /> 사회적 거리두기로 요즘 도심 거리가 한산합니다. 종로나 강남 등에선 사실상 도심 공동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데요. 자영업자들의 타격이 클 수밖에 없을 거 같은데 현장 분위기는 어떠한가요?<br /><br /> 기업들은 위기를 넘기기 위해 자구안을 실행하고 있습니다. 대한항공이 알짜 사업부로 손꼽혔던 기내식과 기내면세품 판매사업을 사모펀드에 팔았는데 자금이 추가로 확보된 만큼 경영에 숨통이 트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